북한이 과거에도 대남·대미 선전 차원에서 도로나 주요 시설을 폭파하곤 했습니다. <br /> <br />평화 조성을 위한 눈속임부터 군사적 긴장감을 높이려는 의도까지 노림수는 다양했는데요, <br /> <br />이를 두고 '폭파 쇼'라는 말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하나씩 볼까요? <br /> <br />2008년 6월 '영변 원자로 냉각탑' 폭파입니다. <br /> <br />2007년 이뤄진 북핵 6자 회담 합의에 따라 북한은 핵 제조시설 불능화를 이행하기 위해 냉각탑을 부쉈고, 그 대가로 미국은 북한을 테러지원국 명단에서 해제시켰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이후 용도 폐기된 냉각탑을 폭파시켰다는 사실이 밝혀졌고, 5년 후 북한은 '영변의 모든 핵시설과 원자로를 재가동한다'고 발표했죠. <br /> <br />평화 분위기를 조성해 당근을 얻어내려는 기만 전술이었다는 게 확인됐습니다. <br /> <br />당근 효과를 학습한 걸까요. <br /> <br />김정은 위원장도 집권 뒤 비핵화 선전용 폭파를 감행합니다. <br /> <br />2018년 5월 남북정상회담에서 합의한 비핵화 조치를 이행한다며, 언론이 보는 앞에서 풍계리 핵실험장을 5시간에 걸쳐 폭파시켰습니다. <br /> <br />또, 같은 해 11월엔 남북군사합의에 따라 최전방 감시초소(GP)를 폭파하기도 했는데요. <br /> <br />하지만 2022년에 풍계리 핵실험장 복구 움직임이 포착된 데 이어, 지난해엔 감시초소에 중화기를 배치하는 등, <br /> <br />그동안의 폭파가 눈속임을 위한 기만 전략이었다는 평가가 나옵니다. <br /> <br />남북 긴장이 고조된 2020년 이후엔 폭파의 성격이 달라집니다. <br /> <br />군사적 긴장을 높이려는 의도를 드러낸 건데요. <br /> <br />2020년 6월 일어난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가 대표적입니다. <br /> <br />당시 대북 전단에 비난을 퍼붓던 북한은 개성공단 내 연락사무소를 철폐하겠다고 밝힌 뒤 11일 만에 무단으로 폭파를 진행했습니다. <br /> <br />남북 단절의 시작을 알리는 퍼포먼스였는데요. <br /> <br />이번에 전격 단행된 경의선·동해선 폭파도 남북 간의 단절을 대대적으로 알리고, 북한 주민들의 적개심을 고취하려는 목적이란 분석이 나오고 있죠. <br /> <br />또 다른 도발로 이어질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자양 (kimjy0201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41016090443573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